본문 바로가기

분당교회2055

사순 5주일 분당교회 3월 22일 사순 5주일 아래 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3. 27.
관심이 불러 온 변화 관심이 불러 온 변화 사람에게는 그리워하는 대상의 향기가 난다고 합니다. 누군가 돈을 그리워하면 그 사람에게서는 돈의 향기가 나겠지요. 또 누군가 권력을 그리워하면 역시 그에게서 권력의 냄새가 날 것입니다. 사랑을 그리워하면 사랑의 향기가, 꽃을 그리워하면 꽃향기가 날 것입니다. 오물이 썩는 곳에서 맡은 악취가 코끝에서 맴돌기도 하고 옷에 배기도 합니다. 그러나 이런 냄새는 시간이 가고 목욕을 하고 빨래를 하면 사라지게 마련입니다. 그러나 사람에게서 나는 인격의 냄새는 좀처럼 지워지지 않습니다. 한번 만나 본 사람에게서 지독한 인격의 냄새가 났다고 한다면 아마도 계속해서 그 사람에 대해서는 그렇게 생각하게 될 것입니다. 과연 우리에게는 무슨 향기가 날까요? 또 사람은 관심의 크기와 방향대로 살아가게 되어.. 2015. 3. 23.
사순 4주일 분당교회 3월 15일 사순 4주일 아래 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3. 23.
성전의 도덕성 성전의 도덕성도덕적이지 않은 성전이 있을까요? 성전은 성전 자체로서 신성한 공간이기 때문에 도덕성을 따질 필요가 없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그런 성전이 도덕적이지 못하다면 이는 문제가 심각해집니다. 세상에서 부도덕한 죄를 짓고 사는 사람들이 신성한 성전에서 죄를 씻고 거듭날 수 있어야 하는데 오히려 이 성전이 부도덕하다면 인간의 죄는 어디서 씻을 수 있겠습니까? 또한 성전이 부도덕해지면 하느님 역시 부도덕한 존재가 되어버릴 수 있으니 이보다 더 큰 죄가 어디 있을까요?예루살렘 성전은 이스라엘 사람들에게 있어서 절대적인 중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스라엘 사람들은 자기들의 정체성의 상징을 성전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스라엘을 이스라엘답게 만드는 것이 바로 하느님께서 계시는 성전이라고 여겼던 것입니다. 그래.. 2015. 3. 16.
사순 3주일 분당교회 3월 8일 사순 3주일 아래 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3. 16.
자기 십자가 자기 십자가 십자가는 구원과 은총의 상징이지만 원래는 죄수들의 사형방법이었습니다. 로마는 식민지인들이나 노예들 중에 반란을 일으킨 사람들에 대해서 가장 극악한 형벌로서 십자가형을 내렸습니다. 십자가형은 우리가 예수님의 십자고상을 통해 보듯이 나무 기둥에 죄수의 양팔목과 발목을 못으로 박아 고정합니다. 이때 무릎은 약간 구부려진 상태로 여유를 줍니다. 이것은 양팔로만 지탱되는 몸이 서서히 밑으로 쳐지면서 횡격막을 압박하여 숨을 쉴 수 없게 되면 다시 구부러진 다리를 펴서 올라가 호흡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라 합니다. 얼핏 보면 목숨을 연장시켜주도록 하는 배려 같아 보일지 모르지만, 이것은 더 서서히 고통을 받아 숨지게 하려는 잔인한 배려일 뿐입니다. 뜨거운 광야나 돌산 언덕에 세워진 십자가에 달린 사람은.. 2015. 3. 7.
사순 2주일 분당교회 3월 1일 사순 2주일 아래 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3. 7.
정은선 로사 반주자 피아노 듀오 연주회 2015년 2월 28일 토요일 정은선 로사 반주자님의 듀오 피아노 연주회가 성공회대학교에서 열렸습니다. 흔히 보지 못했던 피아노 듀오 연주회여서 더욱 뜻 깊었던 것 같습니다. 열심으로 준비하신 정은선 로사 반주자님 수고 하셨습니다. ^^ (이날은 성가대에서 이사라, 문모니카, 이앵니스 그리고 윤요한 님이 함께 했습니다.) 2015. 3. 1.
두 번의 유혹 성서에는 인간의 본성과 운명을 결정짓는 ‘유혹’이 두 번 등장합니다. 하나는 창세기에 나오는 아담과 하와가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따 먹은 것이고, 다른 하나는 예수께서 공생활을 시작하면서 광야에서 수행하실 때 사탄에게 받은 유혹입니다. 구약에서 인류 생활의 첫 시작이 유혹에 빠져 에덴동산에서 쫓겨나는 것으로 시작했다면, 신약에서 새사람이 유혹을 물리치고 하느님 나라를 시작한 것으로 절묘한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아담과 하와가 받은 유혹은 인간이 하느님처럼 되고자 하는 욕망에서 비롯된 것입니다. 뱀이 하와를 꼬일 때 절대로 죽지않는다고 하면서 ‘그 나무 열매를 따먹기만 하면 너희의 눈이 밝아져서 하느님처럼 선과 악을 알게 될 줄을 하느님이 아시고 그렇게 말하신 것이다.’라고 했습니다. 물론 뱀이 .. 2015. 2. 22.
사순 1주일 분당교회 2월 22일 사순 1주일 아래 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2. 22.
설날 아침 예배 민속의 명절 설날을 맞아 돌아가신 조상을 추모하는 설날 예배를 2015년 2월 18일 오전 9시 분당교회 성전에서 교인들과 함께 했습니다. 2015. 2. 22.
재의 수요일 예배 사순절을 맞이하는 재의 수요일 (2월 17일) 2015년에는 연휴 기간에 겹쳐 오전 이른 7시에 예식을 가졌습니다. 이른 시간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교인들이 함께 참회연도를 올리고 재의 수요일 예식을 함께 했습니다. 매일 오전 7시 분당교회에서는 사순절 기간 중 매일 아침기도가 있습니다. 많은 참석 바라며, 혹 참석이 어려우신 교우님들은 아침 7시 기억하셔서 함께 기도 드리길 부탁 드립니다. 2015. 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