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기용신부169

마음 속의 촛불 마음속의 촛불 어둠을 밝히는 빛에는 내 몸 안에 있는 빛이 있고, 내 몸 밖에 있는 빛이 있습니다. 몸 안에 비치는 빛은 무지의 먹구름을 거두어내는 빛입니다. 사람으로서 살아야 할 이치를 깨닫는 것이고, 마음속에서 진리의 빛을 보는 것입니다. 또한 절망과 슬픔에 빠져있을 때 마음속에서 피어오르는 희망이, 세상으로부터 버림받아 외로움에 빠져든 사람들에게 찾아오는 사랑이 바로 몸 안을 밝히는 빛이 될 것입니다. 삶이 공허하고 보람도 의미도 찾지 못하는 인생의 방황 속에 마음속으로 찾아오는 하느님의 빛 역시 그렇습니다. 몸 밖에 있는 빛은 우선 우리 일상생활을 돕는 조명 기구의 빛을 생각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어둠 저 편에서 검붉은 여명을 일어 올리는 태양이나, 밤하늘을 수놓는 별빛이나, 지금도 토끼가 절.. 2016. 1. 31.
변방에서 복음을 변방에서 복음을 며칠 전에 별세하신 성공회대학교 신영복 선생은 인류 문명의 역사는 언제나 변방이 새로운 역사의 중심이 되어왔다고 했습니다.(‘변방을 찾아서’, 2012) 오리엔트의 변방인 그리스 로마, 그리스 로마의 변방인 합스부르크와 비잔틴, 근대사의 시작이 된 네덜란드와 영국, 그리고 영국의 식민지 미국에 이르기까지 인류 문명은 그 중심지가 부단히 변방으로 변방으로 이동해 간 역사라는 것입니다. 역사의 사표가 된 인물들 역시 변방에서 나서 변방의 삶을 살았습니다. 인도의 마하트마 간디가 그랬고, 공자의 삶이 그랬습니다. 조선의 이성계 또한 변방인 동북면이 근거지였습니다. 때문에 사회를 발전시키고 역사를 변화시킬 원동력과 잠재력은 바로 이 변방에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 창조적이고 변화의 원.. 2016. 1. 24.
세례와 정체성 세례와 정체성 모든 인간이 가지고 있는 가장 중요한 질문 중에 하나가 아마도 ‘나는 누구인가?’라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너무나 잘 알고 있는 소크라테스의 ‘너 자신을 알라!’라는 질문 역시 인간의 근본적이고도 영원한 숙제를 의미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평생을 살아도 풀리지 않는 이 질문에 대해서 명쾌한 답을 구하기는 어렵지만 성숙한 사람이라면 나름대로 자기 자신을 규정하는 정체성을 지니고 있다고 봐야 할 것입니다. 가령 부모는 부모답게 어떤 역할과 책임을 지니고 있다고 하든지, 정치인이면 사회지도자답게 사는 것이 어떤 것인지, 종교인이면 그 종교인으로서 어떤 도덕성과 계율을 지녀야 한다든지 하는 것들을 알고 있습니다. 사람들마다 각자 자기가 어떤 사람으로서 살아야 하고 또 추구해야 할 바람직.. 2016. 1. 10.
별 따라 온 사람들 별 따라 온 사람들 동방박사 세 사람이 별을 따라 유다 예루살렘에 왔습니다. 그리고 유다인의 왕으로 나신 분이 어디에 계시는지를 사람들에게 묻습니다. 그들은 이방인이라서 유다인의 왕을 경배하러 올 까닭이 없는 사람들이었습니다. 외교적인 행위로 이웃 나라의 사절이라면 모를까요. 그런데 이들이 새로 나신 유다인의 왕을 찾는 것을 보고는 헤로데 왕은 당황했으며 예루살렘이 온통 술렁거렸다고 합니다. 그러니까 유다인들은 새로운 왕의 탄생과 존재를 모르고 있던 것이었습니다. 오히려 이방인이 하늘의 징조를 알아보고 메시아 탄생을 경배합니다. 베들레헴에 도착한 그들은 아기 예수께 보물 상자를 열어 황금과 유향과 몰약을 드립니다. 황금은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고, 유향은 거룩하신 분께 드리는 것이며, 몰약은 시신이 .. 2016. 1. 3.
소년 예수 소년 예수 자식을 잃어버린 부모의 심정은 너무나 애달파서 장이 토막이 날 정도라고 했습니다. 그렇다면 부모를 잃은 아이의 심정은 어떨까요? 아마도 갑자기 극도의 불안과 충격과 두려움에 휩싸일 것 같습니다. 해마다 과월절이 되면 이스라엘 사람들은 예루살렘 성전에 가서 제사를 드려야 했습니다. 그러니 그 기간에는 무수히 많은 인파가 예루살렘에 모였을 것입니다. 예수가 12살 때 가족들과 함께 예루살렘에 갔습니다. 그런데 예수의 부모는 집으로 돌아가고 예수는 예루살렘에 그대로 남아 있었다고 합니다. 예수의 부모는 하룻길을 가고 나서야 예수가 보이지 않은 것을 발견했습니다. 여러 가족들과 친척들이 함께 움직이고 마치 난민들이 피난을 가듯 많은 사람들이 함께 길을 간다고 생각하면 그럴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해볼 .. 2015. 12. 26.
'낮 꿈'의 노래 ‘낮 꿈’의 노래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것을 문자로 기록하고, 꼭 하고 싶은 말을 편지로 전해 왔습니다. 그리고 이별과 사랑 등 간절한 마음을 시로 표현하고 그것을 넘어 노래를 합니다. 그래도 그 마음이 다 드러나지 않을 때 노래하면서 춤도 춥니다. 그런데 같은 노래가 여러 사람들의 입에서 흘러나올 때는 한 개인의 간절함을 넘어서서 시대와 사회의 염원을 대변한다고 할 수 있을 것입니다. 몇 백 년이 흘러도 사람들의 입에서 흘러나오는 고전적인 명곡뿐만 아니라 통속적인 대중가요 속에서도 시대정신과 역사적인 상황이 담겨있기 마련이니까요. 그런 것을 보면 오랫동안 불리어온 성가는 인류의 보편적이고 근원적인 염원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마리아의 노래’(루가 1:46-55)는 마리아가 예수를.. 2015. 12. 20.
장기용 신부님 서품 24주념 기념 분당교회 장기용 신부님이 지난 12월초서품 24주년을 맞이하셨습니다. 이에 교회에서 조촐하게 축하하는 행사를 지냈습니다. 2015. 12. 15.
신발 끈 풀어 드릴 자격 신발 끈 풀어 드릴 자격 인간(human)이라는 말의 어원은 겸손(humility)라는 말과 같은 흙(humus)에서 왔다고 합니다. 창세기에서 하느님은 첫 사람 아담과 하와에게 말합니다. ‘너희는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가리라!’ 모든 인간은 겸손 할 수밖에 없으며 겸손해야만 인간답게 살 수 있다고 하는 것을 말해주는 것 같습니다. 흙은 가장 낮은 곳에 있으면서 모든 사람들, 동물들, 식물들, 물건들을 떠받들고 있습니다. 여러 종류의 사람들이 밟고 지나가고 또 그 위에 살아갑니다. 그러나 한 번도 자기주장을 하지 않습니다. 모두가 딛고 살게 할 뿐입니다. 이것이 겸손한 태도를 보여주는 것이며 또 겸손한 사람의 넓은 인덕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겸손한 삶이란 마치 대지처럼 모든 것을 포용하고 받아들일 수.. 2015. 12. 13.
추수감사절 분당교회 11월 22일 추수감사주일 아래 주보 이미지를 클릭하면 큰 이미지로 보실 수 있습니다. 2015. 11. 22.
깨어있는 백성이라야 산다 깨어있는 백성이라야 산다 종말이라는 말 앞에서 두 부류의 사람이 있을 것 같습니다. 종말을 기다리는 사람, 그리고 종말을 두려워하는 사람. 말 그대로 종말을 기다리는 사람은 현실이 너무나 고통스럽고 힘들어서, 그리고 어떤 희망도 가질 수 없어서 차라리 모든 것이 끝나버리고 새로운 시대가 열리기를 바라는 사람일 것입니다. 지옥과도 같은 아우슈비츠 탄광에서 동물 이하의 핍박을 받는 상태라면, 모진 고문을 받으며 피를 토하는 사람이라면, 차라리 죽는 것이 낫겠다는 생각이 드는 사람이라면 종말을 기다릴 것입니다. 반면에 종말을 두려워하거나 아예 그런 것은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지금 이대로가 살만한 사람이며 이대로 영원히 지속되기를 바라는 사람일 것입니다. 또는 지은 죄가 많아서 종말과 심판을 두려워할는지 모릅.. 2015. 11. 15.
가난한 여인의 봉헌과 빈자일등 가난한 여인의 봉헌과 빈자일등 가난한 여인의 헌금 이야기는 읽을 때마다 가슴이 뭉클해지고 감동을 받습니다. 예수께서 헌금 궤 맞은편에 앉아서 사람들이 헌금 궤에 돈을 넣는 것을 바라보고 계셨을 때 부자들은 많은 돈을 넣었습니다. 그러나 가난한 여인 한 사람은 와서 겨우 렙톤 두 개를 넣었습니다. 그 작은 돈을 헌금 궤에 넣을 때 얼마나 부끄러웠을까를 생각할 수도 있지만 그 손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손이며 위대한 손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이 돈은 매우 적은 액수이지만 그 여인이 하루 동안 먹을 것을 살 수 있는 돈이었습니다. 아마도 구걸했을 것입니다. 배고픔을 이기고 생명을 간신히 유지할 돈이었지만 기꺼이 봉헌을 한 것입니다. The Widow's Mite by James Tissot .. 2015. 11. 8.
천국의 소망 천국의 소망 신앙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근본적인 차이는 무엇일까요? 바르고 양심적으로 사는 것일까요? 많은 사람들이 그렇게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못한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 최근 조사된 여론 조사에서는 종교와 종교인에 대한 일반인들의 신뢰가 급격히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종교인들에게서 정의롭고 헌신적인 면보다는 일반인들보다 더 이기적이고 욕심이 많고 도덕적으로 타락한 모습들을 보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러니 단순히 윤리 도덕적인 측면에서 옳고 그른 것을 가지고 신앙인의 특징을 말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또 저급한 사고방식으로 신앙을 통해 건강하고 오래 살며 물질적인 ‘축복’으로 행복하게 산다는 것을 말하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 만일 이런 신앙관이라면 하느님이 개인의 건강과 .. 2015. 11. 1.